조현병(schizophrenia)
조현병은 망상, 환각, 이상행동, 혼란스러운 언어 등 부적응적 증상들을 나타내는 매우 심각한 정신장애이다. 조현병 상태에서는 현실검증력이 매우 저하되어 초기에 적절하고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1. 조현병의 주요 증상
1) 망상(delusion)
조현병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자신과 외부세계에 대한 잘못된 추론에 근거한 그릇된 신념으로 분명한 반증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지속되는 신념을 망상이라고 한다.
(1) 피해망상(persecutory delusion)
흔히 자신이 특정한 개인이나 단체, 정보기관으로부터 부당하게 피해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증상
(2) 과대망상(grandiose delusion)
자신이 매우 중요한 능력과 임무를 지닌 특별한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증상
(3) 관계망상(delusion of reference)
아무 근거도 없이 주위의 모든 것이 자기와 관계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증상
(4) 애정망상(erotic delusion)
유명한 사람과 자신이 사랑하는 관계라고 생각하는 증상
(5) 신체망상(somatic delusion)
자신의 몸에 매우 심각한 질병이나 증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증상
2) 환각(hallucination)
현저하게 왜곡된 비현실적 지각을 말하며, 외부자극이 없음에도 어떤 소리나 형상을 지각하거나 외부 자극에 대해서 현저하게 왜곡된 지각을 하는 경우 환각이라고 할 수 있다.
환각은 감각의 종류에 따라 환청, 환시, 환후, 환촉, 환미로 구분되며 조현병에서 가장 흔한 환각 경험은 환청이다. 조현병 환자들은 흔히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하여 간섭하는 목소리나 누군가 두 명 이상이 서로 대화하는 목소리를 듣게 되는 환정을 경험하는데 환청을 경험하는 사람은 대부분 조현병으로 진단된다. 환시는 시각적 형태의 환각경험, 환후는 후각적 환각경험, 환촉은 촉각적 환각경험, 환미는 미각적 환각이다.
3) 와해된 언어(disorganized speech)
조현병의 전형적인 증상 중 하나로 비논리적으로 말의 앞뒤가 맞지 않거나, 전혀 상관없는 것들을 연관 지어 말하는 증상이다.
4) 심하게 와해된 행동(grossly disorganized behavior)과 긴장성 운동행동(catatonic behavior)
나이에 걸맞는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고 부적절하게 나타나는 엉뚱하거나 부적응적인 심하게 와해된 행동을 하거나 마치 근육이 굳은 거처럼 어떤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긴장성 운동행동을 나타낸다.
그 외 대표적인 음성증상으로 정서적 둔마(외부 자극에 대한 정서적 반응성이 둔화되어 무표정하거나 무감각한 상태), 무언어증(언어반응의 빈곤), 무욕증(어떠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사회적 활동에도 무관심한 상태) 등이 있다.
2. 조현병의 원인
조현병의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현병 환자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매우 비일관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현병은 생물학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
1) 생물학적 원인
생물학적 입장에서는 조현병을 뇌의 장애로 규정하고 유전적 요인, 뇌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인 결함 등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유전적인 요인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뇌의 구조적 이상과 뇌의 기능적 이상이 조현병과 관련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밖에 생물학적 환경(태내조건, 출생전후의 생물학적 환경)이 조현병 유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다.
2) 심리적 요인
인지적 입장에서는 조현병이 기본적으로 사고장애이며 사고장애는 주의기능의 손상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주의(attention)는 인간이 지적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적절한 정보를 선택하여 처리하고 부적절한 정보는 억제하는 기능을 지닌다.
조현병 환자들은 주의기능 손상으로 인해 심리적 혼란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심리적 혼란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나치게 단순한 논리로 혼란스러운 경험을 설명하려 망상을 발달시키거나, 의식에 침투하는 부적절한 정보를 억제하지 못하여 주의기능이 관여되는 대부분의 인지적 과제에서 수행저하를 나타낸다.
3) 가족관계 및 사회환경적 요인
조현병의 유발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으로는 가족관계가 주목을 받아 왔으며,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관계, 부모의 부부관계 등이 조현병 발병과 경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되었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환경이 조현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3. 조현병의 치료
조현병 환자는 현저한 부적응 증세를 나타내고, 자신과 타인을 해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입원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상의 완화를 위해 약물치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좀 더 근본적인 치료와 사회적 재적응을 위해서는 심리치료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조현병 환자들의 적응정 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응정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행동치료적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